# 1. 일본의 제2의 영토침탈

올해 2월 23일, 일본 시마네현 의회에서는 ‘다케시마(독도)의 날’을 만들자는 조례안을 내놓았다. 그로부터 20일 뒤인 3월 16일에 시마네현 의회는 이 조례를 받아들이기로 최종 결정했다. 우리 정부 측은 강경 대응하겠다고 했으나 구체적 방안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서둘러 독도를 일반인들에게 개방했다. 현재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일본 방문을 무기한 연기했다. 뿐만 아니라 경상북도는 일본 1989년부터 시네마현과 맺어온 교류를 끊었다.

1905년 1월, 일본 정부는 독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시켰다. 그 후 <인접 해양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을 발표했고, 이 선언에서 규정하는 해양 경계선 안에는 독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뒤 한일국교정상화 협상과정(51~65년)에서 독도가 두 나라간의 논쟁대상이 되었으나 그 해결이 뒤로 미뤄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일본은 국제사법재판소에 독도 소유권에 대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한 예로 1618년에 발행된 ‘다케시마 도해 면허’ 사본을 제시하며 자기의 영토임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도해 면허’는 국외로 나갈 때 받는 것으로 오히려 독도가 한국 땅임을 증명해 준다. 그 외에도 독도가 대한민국의 땅임을 증명해주는 자료는 많다.

일본은 독도를 넘어 중국을 상대로 새로운 싸움에 나섰다. 문제가 된 곳은 지하자원이 풍부한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는 청일전쟁 이후 대만과 함께 일본에 편입되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일본은 대만은 중국에, 센카쿠열도는 미국에 이양했다. 지금 일본은 1972년 미국이 오키나와를 일본에 돌려주면서 센카쿠 열도까지 함께 넘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반도 대신 독도, 만주 대신 댜오위다오. 일본의 21세기형 동북아시아 영토침탈인가.

# 2. 스포츠 트렌드, 이종격투기 K-1

독도문제와 일본 국사 교과서 문제로 시끄러웠던 지난 3월, 그 끝자락에 최홍만 선수와 일본 아케모노 선수의 K-1대회가 있었다. 이날 최 선수의 우승은 한국인이라는 자부심과 함께 K-1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993년에 처음 실시된 K-1의 정식 명칭은 “K-1 World Grand-Prix(케이원 월드 그랑프리)”. 킥복싱(Kickboxing), 가라테(Karate), 쿵푸(Kung-fu), 권법(Kenpo) 등에 들어가는 알파벳 K를 따서 만든 입식 격투 스포츠 대회다. K-1은 선 채로 주먹·발·무릎 등을 이용해 상대를 가격하는 입식타격기 방식으로 시합이 이루어진다. 가로 세로 7.2m의 사각형의 링 안에서 이루어지는 시합은 3분씩 5라운드의 경기로 승부가 결정된다. 물어뜯기, 낭심 공격, 눈 찌르기 등 일부 급소 공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술이 허용된다.

최홍만 선수의 경기의 시청률은 케이블 TV에서는 나오기 힘든 12%를 기록했다. 이종격투기와 관련된 다음카페는 무려 1000여 개에 이른다. MBC ESPN, KBS 스포츠 채널 등 케이블 방송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경기를 보는 것을 넘어 격투기를 배우는 사람도 많다.

타 종목의 운동선수들도 이종 격투기로 종목을 바꾸고 있다. 1991 레슬링 아시아선수권 우승자인 최무배는 격투기의 종목 중 하나인 프라이드 선수로 변신했다. 앞에서 말한 민속씨름 천하장사 출신인 최홍만 선수는 K-1으로, 96 애틀란타 올림픽 유도 은메달리스트 김민수 선수는 종합 격투기로 종목을 바꿨다.

# 3. 정부가 나선 학교폭력 진압

지난해 수능 부정과 밀양 성폭행 사건, 그 외 교내 폭력 조직이 가담한 사건들이 끊이지 않자 정부는 학교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았다. 3월 4일 교육인적자원부 등 4개 부처와 경찰청은 공동 담화문을 내고 학교 폭력을 근절하겠다고 선포했다. 4월 말까지 교내 폭력 조직의 자진신고를 받고 그 후에는 강력한 조사에 나선다고 한다.

하지만 당사자인 학생들은 정부에서 강력한 조취를 취한다는 말을 믿지 못하고 있다. 3월 27일 자 연합뉴스에 따르면 91%의 학생들은 ‘일진회는 안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일진회에 가담한 학생들에게 병영체험을 시킨다는 방안 또한 현실과 거리가 멀다. 삼청교육대의 재현이 아니냐는 의심도 있고, 도리어 보복 심리가 커져 조직이 더욱 커지고 난폭해질 것이라는 비관적 의견도 7.3%나 된다.

교육부에서도 구체적인 대안은 마련하지 못한 상태이다. 학교에 경찰을 배치하는 스쿨 폴리스제도만 해도 인권 침해라는 반대의 목소리가 높다.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 대한 감시와 뒷조사 등의 사생활 침해도 우려된다.

# 4. 지진, 안전하지 않은 한반도

20일 오전 10시 53분쯤 일본 후쿠오카현과 사가현 남부 일대에 리히터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의 영향으로 부산, 경남에서 최대 리히터 규모 4.0의 지진과 함께 전국적인 지진이 일어났다. 그 다음날 21일 오후 11시 59분 일본 후쿠오카 북서쪽에서 규모 4.6의 지진이 또 발생했다. 우리나라에도 20일부터 닷새에 걸쳐 규모 4.0 이상의 지진이 계속 발생했다. 이런 연속된 지진은 한국을 공포 속으로 몰고 갔다. 이번 지진의 여파는 우리나라도 지진의 영향권에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후쿠오카 지진은 지진이 잘 일어나는 지각판 경계 부위가 아닌 그 안쪽에서 일어났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강익범 박사는 “일본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곳은 지각판 경계부위지만 지각판 안쪽에 있다고 해서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일본은 전국을 상대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DIS라는 지진 피해 조기 평가시스템을 개발했다. 미국의 경우에도 HAZUS라는 지진 피해 추정 프로그램을 개발해 미국 전역에 배포, 자체적으로 지진의 피해를 평가한 뒤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지진 재해에 대한 대응책을 치밀하게 세워야 할 것 이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