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주민센터의 전동휠체어 충전소. 센터는 20대인 기자가 오르기에도 힘든 곳에 있었다. 은평구 장애인 이동기기 수리센터의 김성용 씨는 “휠체어가 오르기에 위험한 경사”라고 말했다.

이용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1년간 사용된 적 없다는 충전기는 사다리, 벤치, 드릴과 함께 잠긴 ‘생활 공구 대여함’에 있다.

충전기 작동 여부를 시험하려고 담당자에게 물었더니 엉뚱한 답만 돌아왔다. “저희 센터는 경사가 심해서 휠체어 타고 오기 불편할 거에요. 평지 충전소를 이용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서대문구 북가좌2동 주민센터의 충전소는 2층 민원실에 있다. 계단으로 올라가야 민원실 현관이 나온다. 1인용 엘리베이터가 있지만 직원용 차량이 문을 막았다.

▲ 충전소가 있는 민원실로 가려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하지만 차량이 막았다.

기자는 지난해 11월에 3주간 공공기관 전동휠체어 충전소를 점검했다. 28곳 중 17곳이 휠체어가 접근할 수 없는 곳이거나 이용할 수 없는 상태였다.

한국장애인개발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동휠체어 사용자 절반가량(48.7%)은 방전 경험이 있다. 이들이 이용하는 곳은 복지관(49.2%)과 대중교통(26.3%)이 대부분이다. 주민센터와 관공서 같은 공공기관 이용률(7%)은 가장 낮다.

하지만 충전소는 공공기관에 가장 많다.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장애인 전동보장구 충전시설 미비’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충전소의 약 44%는 주민센터‧관공서 등 공공기관에 설치됐다.

충전소 위치가 실제 이용자의 동선과 다르니 발길이 뜸하다. 영등포구 주민센터 관계자는 “(작년) 1월에 설치했지만 충전하는 분을 못 봤다. 생각보다 이용률이 낮다”고 말했다.

서울 관악구 인헌동 복합청사의 충전기는 화장실로 향하는 복도 끝, ‘가정용 생활 공구 대여함’ 옆에 있다. 콘센트가 없어 작동되지 않는다.

▲ 충전소가 입간판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은평구 응암1동 주민센터는 민원실과 중앙 현관 사이의 중문으로 구분된 좁은 공간에 충전기를 설치했다. 주위에 콘센트가 없다. 강동구 명일2동 주민센터의 충전기도 전원이 켜지지 않는 상태로 민원실 바깥에 있었다. 

영등포구 대림2동 주민센터의 충전소는 입간판(6개)에 가려 보이지 않았다. 구로구청 충전소도 무인 민원발급기와 홍보 입간판 사이에 가려졌다.

관악구 행운동 주민센터의 충전기는 녹이 슬었고 검은 곰팡이가 보였다. 작동을 시험하는 기자에게 센터 직원이 말했다. “안 쓴 지 오래돼서 기계가 작동할지 모르겠네요. 3층 복지팀에 가서 써도 되는지 물어보고 쓰세요.”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