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진보당, 새진보연합이 비례대표 위성정당을 만들기로 2월 13일 합의했다. 선거를 앞두고 시민단체가 정당과 연합하는 일은 전에도 있었다.

‘체제전환운동’은 여기에 반대하는 입장문을 2월 16일 발표했다. “4년 전 총선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왜곡한 위성정당이 이번 총선에서는 ‘윤석열 심판’의 빅텐트로 변했다”라며 시민사회가 독립성을 잃었다고 했다.

체제전환운동은 시민사회가 기성 정당에 의존해선 안 된다는 문제의식에서 나왔다. 작년 11월 6일, ‘기후정의동맹’, ‘플랫폼C’, ‘빈곤사회연대’ 등 12개 단체 소속 활동가 31명이 체제전환운동 제안자로 나섰다.

홍명교 체제전환운동 공동 집행위원장(41)은 “총선을 앞두고 (시민사회가 기성 정치에 의존하는) 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더 안 좋아지는 게 눈에 보였다”라며 “2022년 대선 전에도 그런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뭘 해봐야겠다는 뜻이 모였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 단체가 말하는 ‘체제전환’이란 무엇일까. 원래는 환경 운동에서 주로 쓰는 용어다. 환경보호 국제단체 그린피스가 작년 12월 ‘기후 변화 말고, 체제 전환(Systems Change not Climate Change)’이라는 구호를 사용했다.

체제전환운동은 ‘체제전환’을 기후위기, 돌봄 위기, 주거 위기 등의 사회 문제 해결로 폭넓게 해석한다. 이를 위해 포럼과 정치대회를 연다. 첫 포럼은 2월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동작구 스페이스살림 지하 1층에서 열렸다. 시민단체 79곳이 참여했다.

▲ 체제전환운동 포럼에서 활동가들이 토론하는 모습(체제전환운동 제공)
▲ 체제전환운동 포럼에서 활동가들이 토론하는 모습(체제전환운동 제공)

포럼은 8개 세션으로 나눴다. 첫 세션은 주거권, 두 번째 세션은 교육이 주제였다. 페미니즘과 기후위기도 다뤘다.

홍 위원장은 “다른 행사도 다양한 영역을 가지고 토론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교육 문제 끝나고, 그다음에 노동 문제 얘기하는 식이다”라며 “정보나 지식은 얻을 수 있지만, 연결된다는 느낌은 못 받았다. 우리는 주제를 교차하고 연결하고 가시화하는 데 신경 썼다”고 말했다.

세션별로 쉬는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참가자들이 복도로 나왔다. 홍 위원장은 복도에 가로 2m, 세로 1m터 가량의 판 하나를 설치했다. 왼쪽부터 세션 이름, 사회 이슈, 운동 구호가 보였다. 참가자들은 7가지 색상의 실로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 문제 원인과 대안을 이었다.

▲ 포럼 참가자들이 사회 문제 원인과 대안을 실로 잇는 모습(체제전환운동 제공)
▲ 포럼 참가자들이 사회 문제 원인과 대안을 실로 잇는 모습(체제전환운동 제공)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의 난다 활동가(34)는 “(포럼을 통해) 주거, 노동, 기후, 에너지, 교육, 성 평등 등의 여러 영역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걸 깨달았다”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 세션에서 발제를 맡았다.

주거권 세션에서 발제를 맡은 ‘빈곤사회연대’의 이원호 활동가(47)는 공급 중심의 주택 정책이 시민들을 ‘의자 뺏기의 불행 경쟁’으로 내몰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공공임대주택 확충, 세입자 권리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 활동가는 “(시민들은) 선거에서 최악과 차악을 두고 어쩔 수 없는 선택을 강요받는다. 이번 총선도 그렇다”라며 “체제전환운동은 총선을 앞두고 집단적인 사회운동이 필요하다는 의식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체제전환운동은 3월 23일 서울 광진구에서 ‘정치대회’를 개최한다. 홍 위원장은 정치대회를 시작으로 주요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