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전력이 10월 5일 후쿠시마 오염수를 2차로 방류하자 현지에선 한국을 비롯한 이웃 국가에게 자국 발표를 믿어달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주변국 우려와 달리 일본에선 정부를 신뢰하는 분위기다.

여행으로 서울 중구 명동을 들른 주부 나카자키 씨(48)는 오염수 방류가 해양 생태계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부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오염물질을 철저히 걸러내 바다에 흘려보낼 것이다. 안전하다는 일본의 발표를 굳게 믿는다”라고 말했다.

전화로 이야기를 나눈 아이치현의 회사원 마츠다 씨(36) 역시 일본이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오염수 방류로 제일 먼저 피해를 보는 곳은 일본이다. 그만큼 여러 매체에서 오염수 방류 과정을 투명하게 밝혔으니 반드시 봤으면 한다.”

하지만 취재에 응한 일본인 9명은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면서도 현지 수산물 소비를 피했다.

일본인 여행객 나카무라 씨(60)는 후쿠시마현 인근의 미야기현에 산다. 그는 오염수가 편견이 들어간 단어라면서도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먹냐는 질문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유를 묻자 나카무라씨는 손사래를 치며 자리를 떴다.

후쿠시마현에 사는 일본 도호쿠대 학생은 어린 시절 원전 사고를 겪어 트라우마가 있다고 밝혔다. 원전반경 50㎞에 있는 집에 혼자 머무르는 동안, 폭발로 인해 단전과 가스 누출을 겪었다. 그는 정부를 믿지만 현재는 수산물을 먹지 않는다고 전했다.

▲ 서울 명동의 외국인 관광객
▲ 서울 명동의 외국인 관광객

일본 수산물 내수 시장은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현재까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일본 농림수산성 발표에 따르면 연간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2001년 40.2㎏을 정점으로 2021년에는 23.2㎏까지 떨어졌다.

원전 폭발 직후에는 처음으로 30㎏대 이하인 28.5㎏을 기록했다. 또 사고를 기점으로 육류 소비량(2011년 당시 29.6㎏)이 수산물 소비량을 추월했다. 한국에서 같은 기간 연간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50㎏대 이상을 꾸준히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오염수 1차 방류 직후 수요가 급격히 줄어 9월 후쿠오카현 일부 해산물 도매가는 최대 30% 가까이 감소했다. 홋카이도산 가리비 역시 30% 이상 하락했다. 지바현 조시시의 전복 가격은 오염수 방류 이후 2분기 대비 40% 넘게 떨어졌다.

가장 큰 원인은 8월 말부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이다. 일본의 대중(對中) 수산물 수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75.7% 감소했다. 예상 손실액은 약 100억 엔(한화 약 900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니혼게이자이가 보도했다.

종로구 세종대로의 광화문광장에서 만난 중국인 여행객 샹후이루 씨(42)는 수입 금지 정책이 합당하다고 말했다. “오염수 방류는 해양 생태계 파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겨울에 제주도 여행을 계획했지만, 섬 앞바다에 악영향을 끼쳤을까 걱정돼 일정을 취소했다.”

서울 인사동 쌈지길에서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던 중앙대 교환학생 리랑 씨(20)도 오염수 방류 이후 해산물을 먹지 않는다고 밝혔다. 필요하다면 중국이 수입 금지 조치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