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가 10월 29일로 1주기를 맞는다.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와 4대 종단(불교·기독교·천주교·원불교)은 서울 중구의 서울광장에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가 설치된 이후 올 8월부터 격주로 화요일마다 추모 촛불 문화제와 기도회를 열었다.

9월 12일 오후 7시 서울광장 분향소 앞에선 희생자를 추모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문화제가 열렸다. ‘10·29 이태원 참사 피해자 권리보장과 진상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법안’이 8월 3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통과하고 처음이었다.

문화제에는 약 50명이 참석했다. 한국진보연대와 진보대학생넷 주최로 열렸는데, 희생자 159명을 기억하며 묵념하면서 시작됐다.

▲ 서울시청 도서관 앞의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 서울시청 도서관 앞의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사회를 맡은 한국진보연대 정책국장 박민주 씨는 “참사 발생 300일이 지나 1주기가 다가오고 있다”며 “지난 8월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이 여러분의 응원과 지지에 힘입어 국회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의결됐고, 이제 법사위와 본회의를 남겨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첫 발언자인 한국진보연대 박석운 공동대표는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되도록 제대로 책임지는 사람 하나 없고 진상규명도 안 되는 상황에 참담함을 금치 못한다”라며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외치는 투쟁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대학생 공연과 발언이 이어졌다. 진보대학생넷 소속 대학생 4명은 노래 ‘바위처럼’에 맞춰 율동했다. 이들은 바위처럼 단단하게 싸우겠다는 의미에서 공연을 준비했다고 했다. 시민들이 박수치면서 노래를 따라 불렀다.

▲ 추모 문화제의 대학생 공연
▲ 추모 문화제의 대학생 공연

홍익대 김현석 씨는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300일이 지나서야 특별법이 통과됐다”며 “그마저도 유가족분들이 특별법 제정을 외치며 국회까지 행진하고 지난달에는 삼보일배까지 했다”라고 말했다.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8월 22일 서울광장에서 마포구 아현동까지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촉구 및 300일 추모 삼보일배 행진’에 나섰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은 참사 원인과 책임소재를 규명하고 유가족 피해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다. 국회 행안위 안건조정위원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야당 단독으로 통과됐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민주당의 입법폭주를 강하게 규탄한다”며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진상은 이미 이뤄졌고 책임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법적 절차 또한 엄중히 진행 중”이라고 주장했다. 6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 법안이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될 당시에도 국민의힘 의원들은 투표에 참여하지 않고 본회의장에서 집단 퇴장했다.

희생자 고(故) 유연주 씨의 언니 유정 씨도 문화제 무대에 올라 발언했다. “특별법 제정을 위한 1년의 과정에서 정부와 여당은 방해를 일삼고 현재까지도 협조하지 않고 있다. 빠른 시일 내에 특별법이 법사위를 통과하여 제정될 수 있도록 정부와 여당은 적극 협조하길 바란다.”

유가족을 비롯한 시민대책회의가 이날 같이 외친 내용은 특별법 제정과 진상규명을 위한 정부 여당의 책임 촉구였다. 문화제에 참석한 전국농민회총연맹 하원오 의장은 “1년이 흐른 지금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는 달라진 게 없다”라고 지적했다.

문화제가 이어지는 1시간 동안 주최 측과 시민들은 ‘이태원 참사 특별법 즉각 제정하라’ ‘이태원 참사 모욕하는 국민의힘 규탄한다’ ‘이태원 참사 국가책임 인정하고 대통령은 공식 사과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소리꾼 김정은 씨의 공연이 시작되자 더 많은 시민이 발길을 멈추고 참여했다. 제주 서귀포에서 왔다는 김성규 씨는 “참사 1주기가 되기 전에 꼭 와보고 싶었다. 한 사람 한 사람 바라보는데 참으로 안타깝고 마음이 아팠다. 다 똑같은 우리 아니냐”라고 말했다.

시민대책회의는 참사 1주기 당일, 유가족협의회와 함께 서울시청 인근에서 추모 대회를 연다. 이태원에서는 4대 종단 기도회와 함께 행진이 있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