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캉스는 호텔과 바캉스를 합친 단어. 호텔에서 보내는 휴가를 말한다. 처음에는 호텔에 머물며 수영장과 사우나를 비롯한 내부 시설을 이용하는 행위를 가리켰다.

최근에는 호텔 주변의 명소나 식당을 찾는 활동까지 포함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여행이나 장거리 여행에 부담을 느끼면서 호캉스로 여행을 대신하는 사례가 늘었다.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이수빈 씨(21)는 코로나19로 해외 방문학생 프로그램을 마치지 못한 아쉬움을 달래려고 5월과 6월, 호캉스를 갔다. 호텔이 조식을 제공하지 않아 이 씨는 주변 식당을 이용했다.

관광명소 주변 식당보다 호텔 주변 식당의 이용객이 적어 다른 이와 마주칠 일은 적었다. 이 씨는 “혼잡한 장소를 돌아다니기보다 호캉스를 떠나 호텔 주변 식당을 방문하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 코로나19로 많은 호텔이 한산한 모습이다. (엄세진 씨 제공)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2020년 6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97.5%, 해외로 나간 한국인 여행객은 98.1% 줄었다.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강성만 교수(39)는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소비자의 관광 수요를 채울 양질의 호캉스 상품이 많이 나왔다며 이렇게 말했다. “호캉스를 장려해서 호텔 내 조식이나 기타 서비스를 이용하면 호텔 업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세종대 호텔관광경영학과 이슬기 교수(40)는 호캉스가 여행을 대체하는 단어이자 여행이라는 현상의 특수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호텔은 출장이 목표인 사람뿐만 아니라 호텔을 휴가 대신 이용하는 사람의 욕구까지 충족시켜야 한다.”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박시언 씨(20)는 제주도로 가려던 가족 여행을 취소하는 대신 7월에 서울의 호텔로 갔다. 라운지 식사는 뷔페 형식이었지만 일회용 위생 장갑과 집게를 사용해 불안한 마음을 달랬다고 말했다.

호텔 측은 수영장과 사우나 같은 시설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가능하도록 이용 인원을 제한한다. 서울의료보건고 고은희 보건교사(50)는 “호텔이 이용 인원을 조절하면 외부 시설을 이용할 때보다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성일 교수(59) 역시 한국의 감염자 수가 적기 때문에 해외여행보다는 국내 여행, 특히 호캉스가 낫다고 설명했다. 특히 조 교수는 확진자가 생기면 이용객 추적이 다른 시설보다 훨씬 수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화여대 전자전기공학전공 장효원 씨(21)는 “7월에 강릉으로 호캉스를 갔다. 모든 객실이 만석이고, 조식시간에 사람이 너무 많았다”며 감염 가능성에 불안감을 느꼈다.

서울의료보건고 김경남 보건교사(44)는 “호텔에서 방역을 충분히 한다면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지만, 비전문가에 의한 방역은 의미가 없다”라고 말했다. 호텔이 투숙객을 통제하는 범위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가 6월 발표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관리자 업무 안내>에 따르면 식당, 호텔 같은 곳은 환기 시설과 군집도 등 5가지 기준으로 안전성을 판단한다. 호캉스가 일반 식당보다 안전해 보일 수 있지만, 호텔의 관리 정도에 따라 안전성이 다른 점이 문제다.

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박경옥 교수(49)는 “정부의 방역 지침 안에서 호텔 이용이 가능하지만, 불안하다면 호캉스를 떠나기보다 충분한 정보가 쌓일 때까지 기다리기를 권유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