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메이트랑 동물원 왔어요.” 대만 타이베이에 사는 장가청 씨의 말이다. 화상회의 줌(Zoom)을 통해 대화하면서 장 씨는 스마트폰으로 동물원 곳곳을 보여줬다.

화면에는 마스크를 착용한 관람객이 절반 정도였다. 대만에서도 공공장소에 입장할 때는 마스크를 쓰고 체온을 잰다고 한다.

▲ 타이베이 시립 동물원의 모습(장가청 씨 제공)

국내 코로나 확진자는 9월 22일 기준으로 모두 2만 3106명이다. 대만은 509명이다. 장 씨는 “(정부의) 강제력보다 다들 스스로 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타이베이 중심지 부근에 사는데 코로나 확산 초기에는 길거리에서 사람을 거의 볼 수 없었다고 했다.

장 씨는 타이베이대 조교로 일한다. 학교는 개강을 2주 동안 연기하고 화상 앱으로 수업을 하도록 했다. 이 후에는 정상적으로 운영했다. 교직원과 조교가 매일 오전 8시 정문에서 체온과 마스크 착용을 검사한다.

대만 정치대 직원 라정순 씨는 “교외 인사는 교정에 들어갈 수 없다. 교내 인사와 학생은 모두 실명을 기록하고 체온 측정과 소독을 하고 입장한다”고 했다. 감기 증상을 보이거나 체온이 37.5도가 넘으면 검사를 받도록 돌려보낸다.

코로나 전과 달리, 교실에서는 모두 마스크를 착용한다. 또 QR코드를 이용해 방문 체크를 한다. 하지만 운동장과 같은 야외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는 아니다.

라 씨는 “코로나 초기에는 마스크 사재기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말했다. 정부는 3월부터 1인당 1주일에 9개씩만 구매하도록 했다. 정치대는 학생을 위한 마스크를 충분히 확보했다.

장 씨와 라 씨 모두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경험이 도움 됐다”고 말했다. 사스를 겪은 후 대만에서는 마스크 착용과 손 세척이 습관화됐다.

장 씨는 “처음에 중국인 입국을 막은 것도 잘한 점이다. 다른 나라보다 더 급하고 빠르게 했다”고 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03년 대만 사스 감염자는 346명, 사망자는 37명이다. 반면 한국에서 감염자는 3명, 사망자는 없었다.

▲ 방역 수칙 경고문(장가청 씨 제공)

신주시 사립 초등학교의 장릉교 교사는 “정부가 매일 기자회견을 통해 브리핑을 하고 학생들이 순순히 정부의 조치를 잘 따르고 있다”고 했다. 장 교사에 따르면 코로나 초기에 개학을 1주일 미뤘지만 현재는 정상적으로 운영한다.

학생과 교사 모두 교실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소독을 한다. 교사의 고충은 마스크 때문에 학생과 대화할 때 표정이 안 보여 답답하다는 점이다.

방역 수칙을 어기면 처벌을 받는다. 외국에서 입국하면 14일 동안 집에서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 장 씨는 “격리 장소를 이탈하거나 격리 수칙을 어기면 20만 대만 달러 이상, 최대 100만 대만 달러를 벌금으로 내야 한다”고 했다. 원화로 800만~4000만 원.

▲ 야시장 입구에서 소독을 하는 모습(장가청 씨 제공)

대만대 유학생 김지현 씨는 졸업 후 대만에서 직업을 구하려다가 한국으로 돌아왔다. 유학생 다수가 김 씨처럼 본국으로 돌아갔다.

대만의 관광 및 요식업계는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다. 장 씨는 “원래 한국 일본 중국 관광객이 많은데 문 닫은 점포들이 보인다. 특히 펑리수(대만 파인애플 케이크) 가게는 거의 다 닫았다”고 했다.

대만 정부는 경제를 활성화하려고 소비 쿠폰을 발행했다. 1000 대만 달러를 내면 3000 대만 달러 쿠폰을 준다. 장 씨는 “3배 쿠폰이라고 부른다. 나는 이미 다 썼다. 신용카드로 연결할 수 있고 종이 쿠폰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