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선거보도에 취재원 5명당 1명꼴로 일반 시민이 나오지만 조선일보에는 50명당 1명꼴이다. 익명 비율은 조선일보가 38배 높았다.

조선일보 정치면에서 총선을 다룬 기사와 뉴욕타임스가 대선보도(2020election)로 분류한 기사의 취재원을 분석한 결과다. 기간은 2월 6일부터 2월 20일까지였다.

뉴욕타임스 기사(131개)에서 전체 취재원은 540명이었다. 이 가운데 일반 시민은 116명으로 기사 하나에 평균 0.89명이다. 시민이 1명이라도 나온 기사는 38개(29%)였다.

기사에 시민 12명이 나온 적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문할 호텔의 투숙객을 인터뷰한 내용이다.

조선일보 기사(83개)에서 취재원은 모두 297명이었다. 시민은 6명으로 기사 하나에 평균 0.07명이다. 시민이 1명이라도 나온 기사는 5건(6%)에 그쳤다.

▲ 뉴욕타임스와 조선일보의 시민 취재원

뉴욕타임스는 시민 116명 가운데 113명을 실명으로, 3명을 익명으로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취재원이 익명을 요구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예를 들어 어느 여성은 탄핵 논란 등 트럼프 대통령이 처한 정치 현실에 “너무 화가 날 것 같다”며 기자의 질문에 더 이상 대답하길 거부했다고 했다.

다른 여성은 트럼프가 대통령으로서 존중 받아야 한다며 이름 공개를 거부했다. 민주당 경선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숨은 지지층이 트럼프의 정치적 난관에 화가 났다며 익명을 요구한 정황을 전했다.

조선일보는 시민 6명 모두를 익명으로 썼다. 이유나 정황은 밝히지 않았다. 예를 들어 자유한국당 공천 신청자가 대구・경북에 몰리는 현상에 대해 대구 시민 백모 씨(29) 의견을 실었는데 그가 익명을 요구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김학순 고려대 초빙교수(미디어학부)는 “취재원이 익명이면 실제로 취재원이 그러한 발언을 했는지 수용자가 판단하기 어렵다”고 <현장기자를 위한 체크리스트>에서 지적했다.

▲ 실명 취재원의 비율

두 신문은 시민을 활용하는 방식이 달랐다. 뉴욕타임스는 이름과 함께 나이, 직업(또는 전 직장), 거주지 같은 정보를 덧붙였다.

우편원으로 퇴직하고 보스턴 레드삭스 매표원으로 일하는 리츠필드의 워런 커틴(79), 마셜 타운에서 피자전문점을 운영하며 13개월 딸을 가진 베시 웨스트.

뉴욕타임스 기사에서 추가 정보 없이 이름만 나온 시민은 5명에 그쳤다. 반면에 조선에서 추가 정보가 나오는 시민은 1명이었다. 발언 내용도 차이가 난다. 조선일보 기사에서 익명의 시민은 특정 대상을 비판했다.

기사를 보면 백모 씨는 “편안한 곳에서 ‘배지’를 달려는 한국당 후보들의 속셈을 모르는 유권자들은 거의 없다”고 했다. ‘문빠’를 직접 인용한 부분도 “그렇게 정치할 거면 자유한국당으로 가라”라는 내용으로 금태섭 의원을 비판하는 데 쓰였다.

뉴욕타임스에서 익명의 시민이 특정인을 비판하는 내용은 없었다. 익명 시민 3명은 모두 트럼프 대통령을 옹호했고, 실명 시민이 특정 후보를 비판했다.

예를 들어 2월 10일 기사에서 한때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지지했다는 우버 드라이버 제니스 데니스 씨(57)는 바이든이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신망에 크게 기대한다고 지적하면서 트럼프를 이기기는 역부족이라고 했다.

성신여대 이나연 교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해당 의견이 자신의 주관이 아닌 객관적인 제 3자의 의견인 것으로 위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며 익명 취재원을 활용해서 특정 대상을 비판해서는 안 된다고 논문에서 지적했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