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코 통화옵션상품은 환율 변동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헤지 수단으로, 일정 구간에서 환율이 움직이면 수출기업에게 유용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환차손을 보게 된다.’
 
키코(KIKO‧Knock In, Knock Out)에 대한 설명이다. 윤서영 씨(25)는 “헤지는 기자가 (해지를) 오타를 내서 잘못 쓴 건가요?”라고 물었다.

언론이 사용하는 어려운 용어는 이처럼 독자의 이해를 막는다. 환헤지나 메자닌 같은 단어의 풀이를 찾으려고 일부 독자는 검색을 한다. 이해할 수 없는 단어가 나오면 읽기를 중단한다. 제목도 내용도 이해할 수 없는 경제 기사에 등을 돌리는 이유다.

전문용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제목에 ‘키코’가 들어간 5개 신문을 분석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의 기사 85건(2013년 1월 1일~2020년 2월 17일)이 대상이었다.

기사의 82%는 키코를 설명하면서 어려운 용어를 그대로 사용했다. 14%에 해당하는 기사에는 어려운 설명마저 없었다.

▲ 키코 용어의 설명 방법

유형을 분류하니 사전의 내용을 활용한 설명(47건‧55.29%)이 가장 많았다. 키코를 ‘환율이 일정 범위에서 변동하면 약정한 환율에 외화를 팔 수 있는 파생금융상품이다. 수출 중소기업들이 환 헤지 목적으로 대거 가입했다’고 표현하는 식이다.

두 번째로 많은 유형은 ‘환헤지 파생금융상품 키코(KIKO)’ ‘외환 파생상품 키코’처럼 한두 단어를 활용한 단어식 설명(23건‧27.05%)이었다. 두 가지 유형의 공통점은 기자가 키코라는 개념을 설명하면서 다른 전문용어를 활용했다는 점이다.
 
박세은 씨(25)는 이런 기사를 보고 “기자들이 안다고 독자도 어려운 말을 아는 게 아니다”며 배려받지 못한 느낌이라 기분이 나쁘다고 말했다.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김시은 씨(26)는 “이해가 안 돼서 읽다가 끄고 싶었다”고 말했다.

다음은 아예 설명하지 않은 사례(12건‧14.11%)였다. 본문 어디에서도 뜻풀이를 찾을 수 없었다. 마지막은 전문용어를 모두 해설한 유형이었다. 기자는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의미를 정리해서 독자에게 전달했는데 3건(3.52%)에 그쳤다.

독자의 불만을 기자는 알까. 키코 기사를 썼던 한겨레신문 최성진 기자를 인터뷰했다. 그의 기사에는 설명이 전혀 없는 사례도, 설명에 두 문단을 할애한 사례도 있었다.

차이를 물었더니 최 기자는 본 기사와 보조기사를 함께 전달하는 신문의 특성을 지적하며 “보조기사에서 메인 기사만큼 자세하게 설명하면 신문은 지면 낭비로 본다”고 말했다.  

▲ 미디어 이용방식 비교(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보고서(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9 한국)를 보면 뉴스소비에 가장 많이 활용한 미디어는 디지털 매체로 전체의 83%였다. 신문지면을 포함한 프린트물은 19%에 그쳤다.

신문지면과 달리 디지털 매체는 본 기사와 보조기사를 별도로 배치한다. 최 기자는 “온라인에 보조기사를 내면서 하단에 뜻풀이를 넣는 게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닐 것 같다”며 “디지털 플랫폼 특성에 맞춰 설명을 추가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고 말했다. 

▲ 조선일보의 열쇠말 풀이

기사 하단에 열쇠말 풀이를 이용하는 사례가 전혀 없지는 않다. 조선일보가 대표적이다. 윤서영 씨(25)는 조선일보식 열쇠말 해설이 가장 깔끔하고 정리된 느낌이었다며 “따로 용어를 검색하지 않아도 돼 편했다”고 말했다.
   
오유림 씨(24)는 전문용어를 사용해도 예시가 있고 없고는 큰 차이라고 말했다. ‘만기에 미리 정해놓은 환율로 약정 금액을 팔 수 있다’는 설명보다 ‘만기시 1달러당 원화 환율이 1000원으로 떨어지더라도 계약한 환율이 1050원이라면 키코에 가입한 기업은 달러를 1050원에 팔아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설명이 명쾌하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