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오브서울의 ‘지식과 지혜’는 강연, 학술행사, 포럼내용을 기사로 쓰는 코너다. 전문가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지식과 지혜를 넓히고, 기사작성을 연습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

필자는 이화여대의 2018년 1학기에 ‘기사작성기초’ 수업에서 이 코너를 알게 됐다. 4월 17일부터 5월 23일까지 행사 13곳을 찾아갔고, 기사 13편을 썼다. 이 중에서 6편이 채택됐다. 시행착오와 교훈을 10가지로 정리했으니 앞으로 기사를 쓰는 학생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

1. 자료조사

행사를 잘 골라야 한다. 아는 분야가 편하다. 배경지식이 있으면 어떤 내용이 중요한지 파악하기 쉽다. 새로운 분야의 강연에 가고 싶을 때는 사전조사가 중요하다. 기사나 도서를 통해 국내외 사례와 전문가 의견을 알아두면 내용을 쉽게 소화할 수 있다.

나는 9개 분야의 강연에 참석했다. 호기심이 많기도 했지만 특별히 잘 아는 분야가 없어서였다. 낯선 소재로 기사를 쓸 때는 힘들었다. 무엇이 중요한지, 기사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몰라서다. 잘 아는 분야를 선택하거나 자료조사를 통해 배경지식을 늘리기를 권한다.

2. 일찍 도착하기

좋은 자리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된다. 현장사진이 잘 나오고 녹음이 잘 되는 자리로, 대개 앞자리다. 강연자의 실감나는 동작이나 표정, 강연의 핵심 내용을 담은 PPT 슬라이드까지 담으면 금상첨화.

녹음은 정확한 내용을 확보하는데 필요하다. 강연자의 전문용어는 어렵고 다양해서 이해하기 힘들다. 행사가 3, 4시간 이상 계속되면 집중하지 못해서 놓치기 부분이 생긴다. 또 음향시설로부터 멀거나 소음이 크면 녹음이 잘 되지 않으므로 일찍 가면 좋다.

첫 강연에는 시작시간에 맞춰 갔다. 자리가 없어 뒤에 앉았다. 다음부터는 15~30분 전에 도착했다. 자리는 강연의 인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현장상황이 어떨지 모르니 일찍 도착해 가까운 자리에 않길. 강연이 시작될 때까지 준비하는 여유가 생긴다.

3. 사진

강연장 분위기와 강연의 핵심내용을 담아야 한다. 프로작가에 비하면 한참 부족하지만 기본사항을 지키면 적절한 사진을 고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리거나 어둡거나 강연자가 눈을 감은 모습은 피해야 한다.

촬영기기의 성능도 변수다. 필자는 주로 핸드폰을 사용했는데 멀리서 확대하면 화질이 깨졌다. 앞자리에 앉아야 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강연자의 표정과 현장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 좋다. 불필요한 여백은 잘라내야 한다.

4. 연락수단 확보

강연자나 주최 측의 연락처를 확보하면 여러 가지로 편리하다. 행사중간이나 끝난 다음에 강연자에게 명함을 부탁하거나 담당자에게 받으면 된다. 폰카메라보다 화질이 좋은 사진을 부탁할 수 있다.

또 보충설명이 필요할 때 도움요청이 가능하다. 기사가치가 높은 내용에 비중을 두고 싶은데 학생이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강연자나 주최 측에게서 더 자세한 설명을 듣는다면 기사의 질이 높아진다.

5. 최대한 많은 자료 확보

자료집이나 홍보책자나 보조 자료를 나눠 주는 곳이 많다. 현장에서 가능한 정보는 최대한 많이 확보해야 한다. 당장 기사를 쓸 때는 도움이 되지 않아도 다음 강연 정보를 들을 수도 있다.

필자는 주최단체의 연간보고서를 많이 받았다. 이화여대 법학연구소 세미나에서는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소개한 책자를 받았는데, 이전에는 매우 낯설었던 개념이다. 강연자 덕분에 PPT 파일을 받기도 했다. 다양한 자료는 더 정확하고 깊이 있는 기사를 만든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