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규(26∙가명)씨는 여느 취업준비생들과 다를바 없이 살고 있다. 이씨는 아침에 일어나 준비를 마친 후 아르바이트를 하는 카페로 향했다. 일을 시작하기 전에 시간을 쪼개 이력서를 열심히 작성했다. 곧바로 가게 문을 열고 이씨는 열심히 손님을 맞는다. 일을 마친 후 남은 샌드위치를 먹으며 인터넷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코딩’ 강의다. 평범한 취업준비생처럼 보이던 이씨가 기업 인적성 시험이나 어학 시험 강의가 아닌 코딩 강의를 듣는 이유는 뭘까. 사실 이씨는 이민을 결심한 후 4월 말 호주로 출국을 앞두고 있는 ‘이민준비생’이다. 우선 워킹홀리데이비자로 호주 생활을 시작한 후, 현재 공부중인 코딩스킬을 이용해 IT기업에 취직한 후 영주권을 얻을 계획이다. 서울 4년제 대학을 자퇴할 예정인 이씨는 “안정적이고 꿈을 이루기 좋은 환경을 찾아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민을 꿈꾸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력,전공과 상관없이 다양한 청년들이 취업준비생이 아니라 이민준비생을 자처하고 있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성인남녀 1655명을 대상으로 '이민 의향'을 조사한 결과, 78.6%가 '이민을 갈 수 있다면 가고 싶다'라고 답했다. 대학에 갓 입학한 스무살 청년부터 다양한 2-30대 청년층이 이민을 꿈꾸고 준비한다. ‘헬조선’(hellkorea.com) 커뮤니티의 ‘탈조선 게시판’에는 이민을 계획 중인 청년들이 서로의 준비과정을 공유하고, 각종 이민 커뮤니티에는 대학생들의 이민 문의글이 매일 올라온다.

▲‘헬조선’(hellkorea.com) 커뮤니티의 ‘탈조선 게시판’ 캡쳐

청년들이 이민을 택하는 이유는 한국의 열악한 근무조건과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에서 벗어나 희망을 찾기 위해서다. 토목 전공으로 대학원까지 졸업한 김성수(32)씨는 대기업에 입사하기 위해 7개의 자격증과 높은 어학점수까지 갖추는 등 온갖 노력을 다했다. 그 결과 20대 대기업에 입사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업무 시간이 길고 근무조건이 열악했다. 그러던 와중 미군부대에서 근무하면서 겪은 그들의 합리적인 근무 시스템이 마음에 들어 이민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김씨는 호주의 이민 비자(189비자)를 승인 받아 5월 출국을 앞두고 있다. 그는 “도착 후 당장 5년은 힘들지 몰라도 그 이후의 삶은 한국보다 좋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전에는 대부분 저학력 청년들이 기술,생산직을 꿈꾸며 이민을 떠난 것과는 달리, 최근에는 고학력 청년들이 비기술 이민을 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캐나다 벤쿠버에 정착한지 6개월이 된 최진희(28)씨는 상위권 대학을 졸업한 후 높은 연봉을 받으며 외국계 기업에서 일했던 고학력자다. 최씨는 6개월 전까지 한국에 있는 외국계 기업의 회계팀에서 일했다. “한국에서 여자로서의 미래가 그려지지 않아 이민을 결심했다”는 최씨는 부동산 관리회사의 회계팀에서 단기계약직으로 근무중이지만, 대학원에 진학 후 정규직으로 취업하여 영주권을 획득할 예정이다.
 
이민, 워킹홀리데이 커뮤니티 워홀코를 운영중인 김영호(34)씨도 “이민을 준비하는 사람들 중에 고학력자가 상당히 많다”며 “공기업을 다니던 한 여성은 잠시 휴가를 왔다가 이민을 결심하여 정착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6개월 전 독일에 정착한 정유진(25∙가명)씨 또한 서울 상위권 대학 경영학과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을 했다. 전공교수에게 대학원 학비와 취업 지원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독일에 왔다. 정씨는 “한국보다 이곳에 더 많은 기회가 열려있다고 판단했다”며 “먼 미래지만 2세를 위한 결심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청년들의 이민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는 만큼 이민에 대한 환상도 커져 가고 있다. 정씨는 “이민에 환상만 가지고 별다른 준비 없이 무작정 오는 친구들도 꽤 봤다”며 그중 대다수는 불만족스럽게 다시 한국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호주로 이민을 떠날 예정인 김씨 또한 2년 여의 준비과정을 걸쳐 준비한 후 이민을 확정했다. 장강명의 소설 <한국이 싫어서>의 주인공 계나처럼 단순히 ‘한국이 싫어서’, ’여기서는 못 살겠어서’ 무작정 떠나고 봤다가는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스토리오브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